[벡스코(부산)=신영빈 기자] 무인 비행체가 인공지능(AI)을 싣고 더 큰 가능성을 향해 날아오르고 있다. 사람이 직접 조종하거나 경로를 설정하지 않아도 스스로 비행 계획을 세우고 임무를 수행한다. 초대형 시설물을 점검하거나 위험 구역을 정찰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니어스랩은 드론에 쓰는 AI 자율비행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지난 2015년 KAIST 항공우주학과 출신 최재혁 대표와 정영석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함께 창업했다. 특히 풍력발전기 블레이드를 점검하는 시장에서는 단연 독보적인 위치에 올랐다. 2021년에는 국내 전체 풍력발전단지의 60% 이상에 안전점검을 수행했다.
작년부터는 방위사업에도 문을 두드리고 있다. 줄어드는 병력자원 감소와 세계적 무인화 전력 강화라는 추세에 맞게 소형 자율비행 드론 기체를 직접 개발했다. 소형 AI 자율비행 드론 ‘에이든(AiDEN)’은 지난 1월 ‘CES 2024’에서 처음 소개됐다.
니어스랩은 지난 6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사흘간 열린 ‘드론쇼코리아 2024’에 에이든의 비행 시간과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드론 스테이션’을 선보였다. 또 다른 무인기를 쫓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직충돌형 고속 드론’도 공개했다. 기자는 전시 부스에서 최 대표를 만나 신제품과 사업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 "짧은 비행시간 스테이션으로 극복"
“니어스랩이 영상 AI 분석 소프트웨어와 항공기 제어 기술에 강해요. 이번 신제품 2종은 자체 기술력을 상이한 두 가지 목적으로 만든 것이죠. 하나는 정찰 드론이고, 다른 하나는 타격용이에요. 군사 목적 외에도 화재 현장에서도 초기 진압 용도로 쓸 수 있어요.”
먼저 에이든과 스테이션을 살펴봤다. 가볍고 작았다. 에이든의 무게는 불과 2kg. 한 손으로 가볍게 들 수 있는 수준이다. 최대 시속 40km로 날 수 있고 초속 11m 풍속 저항을 견딜 수 있다. 최대 200도 회전이 가능한 2축 짐벌에는 광학·적외선(EO·IR) 카메라와 함께 레이저 거리 측정기(LRF)를 탑재해 주·야간 임무가 가능하다.
다만 작고 가벼운 만큼 비행시간은 약점이다. 약 30분간 날면 배터리가 소진된다. 이 대안으로 제시된 개념이 드론 스테이션이다. 에이든은 이곳에서 긴급 출동을 위해 대기하거나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다. 스테이션을 여러 대 쌓아서 드론 기지처럼 쓸 수도 있다.
최 대표는 “스테이션을 활용하면 드론 한 대가 배터리를 교체하는 동안 다른 한 대가 교대를 하면서 공중에서 임무를 끊기지 않고 24시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며 “타사 제품들 대비 크기를 대폭 줄여서 도심 건물이나 차량 등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미국 내 주 소방청에서도 제품에 관심을 가졌다. 최 대표는 “스테이션을 도심 곳곳에 설치해두고 911 신고가 들어오면 가장 가까운 스테이션에서 드론이 현장에 자동 출동해서 현장 상황을 미리 분석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며 “이런 상황 모니터링 업무를 무인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직충돌형 고속 드론, 폭탄·소화액 탑재 가능"
니어스랩이 이날 직충돌형 고속드론도 선보였다. 이 제품은 최대 시속 250km 속도로 상대방 드론을 요격한다. 레이더와 센서 정보를 융합해 공중 표적을 탐지·식별하고 종말 단계까지 정밀하게 유도한다. 최대 500g 고폭탄을 탑재해 표적을 무력화할 수 있다.
최 대표는 “기존에는 공중 드론을 방해하는 방법으로 대개 전파를 사용해왔는데 이런 방식이 통하지 않는 공격형 드론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했다”며 “시속 250km 속도로 충격하면 40kg급 드론까지 방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여기에는 500g 정도 화약을 적재할 수 있는데, 소방청에서는 여기에 소화탄을 싣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며 “고층 건물 발화지에 드론을 날리면 초기 진화에 도움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